반응형
강아지 치근농양(치아뿌리 염증) 완전 가이드
얼굴 한쪽이 툭 붓거나 눈 아래에 구멍이 나서 고름이 나는 증상… 많은 경우 치근농양입니다. 왜 생기는지, 어떻게 치료하고, 약은 어디까지 도움 되는지, 재발을 막으려면 무엇을 고쳐야 하는지 차근차근 설명드릴게요.
1) 치근농양이란? (개요·대표 증상)
- 정의: 치아의 뿌리(치근) 주변이 세균에 감염되어 고름 주머니(농양)가 형성된 상태.
- 증상: 눈 아래/코 옆 편측 얼굴 붓기, 누르면 통증·열감, 피부 누공(구멍)에서 고름 배출, 침흘림, 입냄새, 한쪽만 씹음, 식욕↓.
- 자주 문제되는 치아: 상악 제4전구치(큰 어금니 같은 치아), 상·하악 어금니, 깨진 송곳니.

2) 원인 (왜 생기나요?)
구강 내 원인
- 치주질환(치석·잇몸염)의 진행 → 치근 노출·세균 침투
- 치아 파절(딱딱한 간식·뼈, 돌 씹기) → 치수(신경) 노출
- 유치 잔존/부정교합으로 음식물 끼임·염증 지속
- 매복·비정상 치아 주변 낭포·감염
기타 촉진 요인
- 면역 저하(만성 질환, 노령)
- 구강 관리 부족, 정기 스케일링 부재
- 이물질(가시·실 등) 끼임

3) 진단 (병원에서 무엇을 하나요?)
- 문진·구강검사(마취 하 상세 검사 권장)
- 치과 방사선 또는 CT로 치근 부위의 투과상, 골용해, 누공 경로 확인
- 필요 시 누공/농 양성 배출물의 배양·감수성 검사
4) 치료 과정 (Step-by-Step)
단계 | 내용 | 치유 기대 |
---|---|---|
① 안정화 | 진통·소염, 필요 시 항생제 시작, 농 배액(절개/세척) | 통증·부종 완화, 패혈증 위험 감소 |
② 원인 치료 | 발치(가장 흔함) 또는 근관치료(신경치료)로 감염 치아 보존 함께 스케일링·치근활택 등 치주치료 |
감염원 제거로 재발 차단 |
③ 추적 관리 | 2–3주 후 상처 확인, 필요 시 추가 치주치료/식단·관리 교정 | 완전 회복 확인, 생활습관 개선 |
5) 약물의 효과는 어디까지?
- 항생제(예: 아목시실린/클라불란산, 클린다마이신 등): 염증·고름을 일시적으로 가라앉히지만 깨진 치아·감염 치근을 없애진 못합니다. 원인 치료 전의 보조 또는 수술 후 감염 관리에 사용.
- 진통·소염제(예: 카르프로펜, 멜록시캄): 통증·부종을 줄여 식욕·활동 회복에 도움.
- 구강 세정(클로르헥시딘 등): 구강 내 세균 감소에 도움. 단독 치료는 아님.
6) 근본 원인 제거 방법 (재발 방지 핵심)
- 발치: 감염 치아 제거. 대부분의 치근농양에서 가장 확실하고 재발률 낮음.
- 근관치료(신경치료): 치아를 보존해야 할 이유(기능·미용)가 크고 치주상태가 양호할 때 선택. 전문 치과 수의사에게 의뢰.
- 유치 잔존 제거·교합 교정: 음식물 저류·잇몸 손상을 줄여 재발 방지.
- 정기 스케일링+홈케어: 칫솔질(매일), 덴탈 다이어트/간식, 구강세정제 활용.
- 딱딱한 물건 금지: 뼈·사슴뿔·돌·매우 단단한 장난감은 파절 위험 ↑.
7) 주로 발생하는 연령·체형
- 중·노령견(대개 5–7세 이후)에서 치주질환 누적으로 흔함.
- 소형견/단두종(말티즈, 푸들, 포메, 시추 등)은 치열이 촘촘하고 치주질환이 빠르게 진행되어 호발.
- 활동적인 젊은 개에서 치아 파절로 인한 급성 치근농양이 나타나기도 함(딱딱한 것 씹은 이력).
- 유치 잔존이 많은 소형 퍼피는 국소 염증이 반복되어 위험 증가.
8) 회복 타임라인 & 집에서의 관리
기간 | 변화 | 관리 포인트 |
---|---|---|
수술 당일–3일 | 통증·부종 감소 시작 | 처방약 복용, 부드러운 식단, E-칼라 착용, 상처 핥기 금지 |
1–2주 | 누공/절개 부위 봉합·각질화 | 과격한 씹기 금지, 칫솔질은 상처 치유 뒤 재개 |
3–6주 | 골 조직 회복 | 재진에서 치유 확인, 구강 홈케어 루틴 정착 |
9) 빠른 체크리스트
10) 자주 묻는 질문(FAQ)
Q1. 약만 먹이면 낫나요?
A. 통증·부종은 줄지만, 감염된 치근/깨진 치아 자체가 남아 있으면 재발합니다. 대개 발치 또는 근관치료가 필요합니다.
Q2. 발치 후 씹는 데 문제 없나요?
A. 대부분의 반려견은 빠르게 적응합니다. 양측 어금니를 모두 잃지 않는 한 일상 식사에 큰 문제가 없습니다.
Q3. 비용 차이는 왜 크나요?
A. 마취·영상진단·치주치료 범위, 발치 난이도, 근관치료 여부, 지역·병원 장비에 따라 달라집니다.
Q4. 예방하려면 무엇이 가장 중요할까요?
A. 매일 칫솔질 + 정기 스케일링(치과 방사선 포함) + 딱딱한 물건 금지입니다. 유치는 제때 발치하세요.
요약
- 원인: 치주질환, 치아 파절/신경 노출, 유치 잔존·부정교합, 이물
- 치료: 통증·감염 안정화 → 발치 또는 근관치료 + 치주치료 → 추적 관리
- 약물 효과: 항생제·소염제는 보조, 근본 치료는 아님
- 원인 제거: 문제 치아 처치, 유치 제거·교합 교정, 홈케어·스케일링, 단단한 물건 금지
- 호발: 중·노령 소형견에서 흔함, 젊은 개도 치아 파절 시 발생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