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가수분해 단백질 사료(Protein Hydrolyzed Diet) 최종 가이드
이 글 하나로 끝! 가수분해 단위(kDa·Da·DH%)를 읽는 법부터 숫자별 효과, 그리고 3000Da vs 1000Da의 실무적인 차이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.
1) 왜 가수분해 사료를 쓰나요?
- 식이 알레르기/과민 시 면역계가 인식하기 어려운 짧은 펩타이드로 공급해 반응 가능성 ↓
- 장 질환(IBD·만성 설사 등)에서 소화 부담 ↓, 흡수 ↑
- 진단적 식이(elimination diet)에 활용 — 다른 간식/토핑은 중단이 원칙
2) 가수분해 단위와 의미
| 표기 | 뜻 | 라벨 예시 |
|---|---|---|
| Da / kDa (달톤/킬로달톤) | 단백질/펩타이드의 분자량. 낮을수록 더 잘게 분해됨. | <10 kDa, <3 kDa, <1 kDa, “아미노산 수준” |
| DH% (Degree of Hydrolysis) | 가수분해 정도(%). 펩타이드 결합이 끊어진 비율. | “DH 20%”, “고도 가수분해(High DH)” |
| 펩타이드 길이 | Di/Tri-peptide, Free amino acid 비율 등 보조 지표. | 제품 설명문/기술자료에 기재 |

3) 라벨/사양서 읽는 법 (체크리스트)
- 분자량 컷오프 — “<3 kDa” 등 숫자가 작을수록 회피력 ↑
- DH% — 높을수록 펩타이드가 짧음(기호성·삼투압 변수는 고려)
- 원료 — 가수분해 닭/대두/생선 등. 과민 이력이 강한 원료는 고도 가수분해 선택
- 교차오염 관리 — 알레르기용은 전용 라인/크로스컨택 관리 문구 중요
- 부가 설계 — 장 질환 동반 시 가용성 섬유·ω-3·MCT 등 확인
- 처방/수의사용 — 진단적 식이는 6–8주 단독 급여가 원칙
4) 숫자에 따른 효과 차이 (한눈 비교)
| 지표 | <1 kDa ~ 아미노산 | <3 kDa | 3–10 kDa | 10 kDa 이상 |
|---|---|---|---|---|
| 알레르기 회피력 | 최고 | 높음 | 중간 | 낮음 |
| 소화·흡수 | 매우 높음 | 높음 | 보통 | 개체차 큼 |
| 기호성 | 개체차 큼(쓴맛 가능) | 대체로 양호 | 양호 | 좋음 |
| 삼투성 설사 위험 | 약간 ↑ | 낮음~보통 | 낮음 | 낮음 |
| 가격/난이도 | 높음 | 중~높음 | 중간 | 낮음 |
| 권장 상황 | 중증·다원료 과민, 실패 후 2차 선택 | 알레르기 의심/재발 케이스 1차 | 경미 과민·소화 개선 | 기본 기능성/전환용 |
5) 3000Da vs 1000Da 상세 비교
| 항목 | 3000Da (3kDa) | 1000Da (1kDa) |
|---|---|---|
| 알레르기 회피력 | 높음 — 다수의 경·중등도에 충분 | 최고 — 중증/재발성/다원료 과민에 유리 |
| 소화·흡수 | 높음 | 매우 높음 |
| 기호성 | 대체로 양호(원료 풍미 일부 보존) | 개체차 큼 — 일부는 아미노산 향/쓴맛 민감 |
| 삼투성 설사 위험 | 낮음~보통 | 조금 ↑ — 급격 전환/과다 급여 시 연변 가능 |
| 가격/제조 난이도 | 중~높음 | 높음 (고도 공정·라인 관리 필요) |
| 권장 상황 | 첫 가수분해 시도, 진단적 식이의 1차 옵션 | 3000Da 반응 불충분·중증 알레르기·IBD 동반 |
| 라벨 힌트 | “<3 kDa”, “중·고도 가수분해”, “전용 생산라인” | “<1 kDa”, “아미노산 수준”, “고도 가수분해/교차오염 관리” |
선택 팁
- 처음이라면 3000Da로 시작 → 6–8주 단독 급여 후 평가
- 반응 불충분/중증이면 1000Da로 상향
- 기호성 문제가 크면 같은 분자량대에서 원료/지방 설계가 다른 제품을 교체 시험
- 장 트러블 경향이 있으면 1000Da라도 서서히 전환·소분 급여
6) 실제 선택 가이드
- 피부/귀/장 재발 → <3 kDa 또는 고DH 우선, 6–8주 단독 급여
- 경미한 과민/소화 개선 → 3–10 kDa도 실용적
- 다원료 반응 → novel protein + 고도 가수분해 조합 고려
- IBD/장질환 → 가수분해 + 가용성 섬유·ω-3·MCT 등 부가 설계 확인
7) 전환·급여 운용 팁
- 7–10일 단계 전환: 25%→50%→75%→100%.
- 진단적 식이 중에는 간식·토핑·영양제 중단 (수의사 허용품만).
- 연변/설사 시 급여량 분할·수분충분·2–3일 관찰.
- 주간 기록으로 가려움·귀염증·변상태·가스·구토 유무를 체크.
8) 자주 묻는 질문(FAQ)
Q1. 1000Da가 언제나 더 좋은가요?
A. 알레르기 회피력은 유리하지만, 기호성·비용·삼투성 변수와 균형이 필요합니다. 3000Da에서 반응이 좋다면 굳이 바꿀 필요는 없습니다.
Q2. 같은 원료(예: 닭)라도 고도 가수분해면 안전한가요?
A. 반응 가능성은 낮아지지만 0%는 아님. 고도 가수분해와 교차오염 관리가 명시된 제품을 수의사 지도 하에 시험하세요.
Q3. DH%만 보고 선택해도 되나요?
A. 분자량 컷오프(kDa), 교차오염 관리, 부가 설계를 함께 봐야 실제 체감이 좋습니다.
요약
- 단위: kDa/Da(분자량), DH%(가수분해 정도) — 숫자 낮고 DH 높을수록 회피력 ↑
- 숫자별 효과: <1 kDa 최상, <3 kDa 높음, 3–10 kDa 중간 — 맛·비용·삼투성 균형 고려
- 3000Da vs 1000Da: 3000Da는 1차로 실용적, 1000Da는 중증/재발에 강력
- 운용: 6–8주 단독 급여로 평가, 간식/토핑 중단, 7–10일 전환
반응형
'반려동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강아지 췌장염 가이드: 급성 vs 만성 비교, 원인·증상·치료·식이·관리 (0) | 2025.10.21 |
|---|---|
| 강아지 쐐기벌레·화상벌레(파데루스) 접촉/쏘임 가이드: 출몰시기·장소·증상·치료·예방법 (0) | 2025.10.06 |
| 강아지 SFTS(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) 가이드: 매개체·잠복기·의심 증상·치료 기간·치료 방법 (1) | 2025.09.26 |
| 강아지 탈모(alopecia) 가이드: 증상·원인(미용 후 탈모 포함)·치료 과정·치료 기간·호발 품종 (2) | 2025.09.25 |
| 강아지 예방접종의 종류와 접종스케줄 (1) | 2025.09.22 |